MIT(Medi Information Teacher)

나만의 전문가

MIT(정보실)

기업, 투자, 세무, 부동산에 대한 최신정보전문지식을 모아볼 수 있습니다.


 
관리자 14:09

해외 선진금융으로 가능한 라이프앤레거시( Life & Legacy ) 전략 – 국내에선 왜 어려울까요?   2024년 4월부터 저희가 시작한 ‘해외선진금융 칼럼 시리즈’가 어느덧 20편을 넘어섰습니다. 그간 많은 원장님들께서 질문 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은 하나의 키워드, ‘사망도 생존도 10억 플랜’,즉 *죽어도 10억, 살아도 10억’을 중심으로 해외와 국내 금융환경을 비교하며 정리해 드리고자 합니다. "사망도 생존도 10억 플랜 " – 20년 전부터 있었던 생각 20여 년 전, 사망보험금 10억 원짜리 종신보험이 유행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때 업계 전설로 불리던...

관리자 2025-04-22

보험도 사고팔 수 있습니다?! – ‘시간을 돈으로 사는’ 새로운 방법     보험은 보통 ‘가입하고, 유지하다가, 언젠가 해지하거나 만기를 맞이하는’ 걸로만 알고 계시죠? 그런데 보험도 ‘사고팔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까지 우리는 보험이 필요 없어졌을 때, 해약환급금을 받고 끝내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심지어 납입한 금액보다 훨씬 적은 금액을 돌려받는 상황에서도요. 하지만 만약 보험을 제3자에게 양도하거나 매매할 수 있다면? 해약보다 훨씬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해외에선 이런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

관리자 2025-04-08

죽어도 10억, 살아도 10억 – ‘죽십살십’의 진화된 버전, 지금 가능한가요?   오늘은 예전 한 시대를 풍미했던 종신보험 컨셉, 이른바 ‘죽십살십’, 즉 ‘죽어도 10억, 살아도 10억’에 대해 다시 한번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20여 년 전, 외국계 생명보험사들의 광고가 큰 반향을 일으키며 많은 원장님들께서 사망보험금 10억 원짜리 종신보험에 가입하시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당시엔 40세 기준으로 월 300만 원 정도의 보험료를 20년간 납입하면 사망 시 언제든 10억 원이 보장되는 구조였죠. 그 무렵 업계의 전설로 불리던 한 설계사는 ‘죽십살십&rsq...

관리자 2025-03-25

국내금융사가 알려주지 않는 해외선진금융의 진실 – 중간 정리 편   2024년 4월부터 저희가 연재해온 ‘해외 선진금융 칼럼 시리즈’가 어느덧 22편에 이르렀습니다. 그간 많은 분들께서 관심 가져주시고 함께 고민해주신 덕분에, 하나하나 정성껏 써 내려갈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동안 다룬 내용을 정리하는 중간 점검의 시간으로, 왜 저희가 이 주제를 다루게 되었는지, 그리고 해외 금융상품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함께 돌아보고자 합니다.   해외금융상품은 특별한가요? 아니요, 오히려 ‘당연한 것’입니다. 저희가 해외 금융 상품을 본격적으로 접한 지도 벌써 11년째입니다. 사실 처음엔 &...

관리자 2025-03-18

홍콩 금융의 현실과 미래 – 홍콩은 중국이 된 거 아닌가요? (2부)   지난 칼럼에서 홍콩이 중국과는 다른 금융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전히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의 위상을 지키고 있다는 점을 설명 드렸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홍콩이 국제 무역과 금융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홍콩 엑소더스"와 관련된 논란이 실제와 얼마나 다른지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을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1. 글로벌 무역과 홍콩 – 단순한 중국의 도시가 아니다 홍콩은 세계 1위의 중계무역국이자 자유무역항으로, 수입과 수출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이 점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홍콩...

관리자 2025-03-11

홍콩 금융의 현실과 미래 - 홍콩은 중국이 된 거 아닌가요? -   최근 해외 금융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홍콩이 금융 중심지로서 여전히 매력적인가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홍콩은 이제 중국이 된 거 아닌가요?", "홍콩에서 금융 상품을 운용하는 것이 안전할까요?"와 같은 우려를 표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국내 언론에서는 "홍콩이 텅 비어 간다", "홍콩 엑소더스", "더 이상 금융 허브가 아니다" 등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합니다. 하지만, 홍콩을 직접 경험하고 깊이 연구해 본 입장에서 보면, 실제 상황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기사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이 부...

관리자 2025-02-25

보험의 해외직구, 선택아닌 필수 (feat. 완전경쟁시장의 이점)   그림출처: http://koreabizwire.com/wp/wp-content/uploads/2015/09/35460230_m.jpg 흔히 K드라마나 K팝, K영화 등 한국의 문화 콘텐츠들이 세계적으로 먹히는 이유를 수많은 중국 매체들은 “한국이 작은 나라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했기 때문이다”라고 합니다. 중국이 아무리 큰 나라라고 해도 전세계보다 크지 않은데 그러면 왜 중국은 처음부터 ‘중국 시장’보다 ‘전세계 시장’을 목표로 콘텐츠를 안 만드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그렇게...

관리자 2025-02-18

시 지 합 의 (시간과 지식과 합리적 상품의 결합 그리고 의지만 있다면…)   자산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장기적인 재무 계획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일겁니다. 특히, 연금이나 저축보험을 활용한 자산 증식과 상속 계획은 미래의 재정적 안정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시간과 지식, 그리고 합리적인 금융 상품이 결합될 때, 얼마나 효과적인 재무 전략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해외직구로 가입할 수 있는 일시납형 유배당보험을 활용하여 무이자로 자금을 빌려 장기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방식은 부모가 자녀에게 자금을 빌려주고, 이를 통해 자녀가 안정적인 연금 흐름을 만들며, 동시에...

관리자 2025-02-13

국내 연금보험과 해외 유배당 저축보험 비교 분석   연금 보험을 가입하셨거나 가입을 고려 중이라면, 국내 확정형 연금보험과 해외 유배당 저축보험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실제 사례를 통해 두 상품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어떤 선택이 더 유리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확정형 연금보험: 안정성은 있지만 한계가 있다? 국내 확정형 연금보험은 가입 시 정해진 이율과 지급 구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연금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연금을 개시하는 순간 해지환급금이 '0'이 되어 유동성이 사라지고, 사망 이후 자녀에게 상속이 불가능한 구조적 한계가 있습니다. (사례 1) 2001년 가입한 S님의 경우 가입 상품: 국...

관리자 2024-10-02

상속세∙증여세 없는 보험? 국세청이 모를 수 있을까요? (해외직구보험의 오해와 진실)   저희가 해외 보험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눌 때, 원장님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종종 듣는 말이 있습니다. “해외보험에 가입하면 국세청 모르게 뭔가 할 수 있다”, “상속세, 증여세 없이 자녀에게 자산을 물려줄 수 있다”, “해외 계좌를 만들어 ATM에서 인출하면 아무도 모른다”, 심지어 “법인 자금을 드러나지 않게 개인화할 수 있다”는 식의 이야기입니다. 이런 이야기를 다른 업체를 통해 상담받았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오늘 만난 젊은 원장님도 똑같은 이야기를 하시더군요. 다른 원장님에게서 그런 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