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Medi Information Teacher)

나만의 전문가

MIT(정보실)

기업, 투자, 세무, 부동산에 대한 최신정보전문지식을 모아볼 수 있습니다.


 
관리자 2025-08-29

MSO 활용 절세 전략, 어디까지 합법인가?   병원 원장님들 사이의 새로운 관심사   최근 개원의 원장님들 사이에서 MSO(Medical Service Organization, 의료기관 경영지원회사)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건비, 마케팅 비용, 시설 관리비 등을 MSO를 통해 이전하면 합법적으로 비용 처리할 수 있어 세금을 줄일 수 있다는 기대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단순히 수익을 이전하는 편법 구조는 국세청의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합법과 편법의 경계   ① 합법적인 활용 사례 병원이 실제로 사용한 ...

관리자 2025-08-29

해당 영상은 PC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관리자 2025-08-28

증여는 언제 하는 게 유리할까? – 의사가 알아야 할 시기별 절세 전략   생전 증여, 왜 늘어날까   최근 몇 년간 증여세 신고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율이 낮아진 것도 아닌데, 오히려 사람들이 증여를 선택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생전에 조금씩 나누어 증여하는 것이, 상속 시 한꺼번에 세금을 내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특히 병원 건물, 부동산, 금융자산을 가진 의사라면 “증여를 언제 시작해야 할까?”라는 고민이 현실적으로 다가옵니다.     시기별 전략, 어떻게 다를까   ① 자녀가 미성년일 때 증여 장점: 10년 단위 ...

관리자 2025-08-26

흉터로 이어진 제모 시술 - 의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리스크 관리     📢 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리스크 최근 미용·피부과 분야에서 레이저 제모 시술은 매우 보편화되어 있지만, 2도 화상 및 흉터 발생이라는 중대한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특히, 시술 강도 미조절, 불균형한 사후 관리, 충분치 못한 설명 의무 등은 의료분쟁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 사례로, 인중과 턱 부위에 반복 제모를 받은 환자에게 2도 화상 및 켈로이드 흉터가 남은 경우, 의료분쟁 조정에서 병원이 일부 과실을 인정하면서 총 6,500,000원 합의가 이뤄진 사례가 있습니다. 또 다른 비슷한 사례에서는 흉터가 남은 점에 대해 약 6,094,000원이 배상 결정된...

관리자 2025-08-22

의사에게 대출은 선택이 아니라 전략 - 강화된 규제 속, 의사 전용 금융 컨설팅의 필요성   | 자금 수요는 의사의 일상 의사들은 커리어 어느 시점에서든 큰 자금을 필요로 합니다. 개원 준비, 병원 인테리어, 최신 의료기기 구입, 병원 확장 같은 의학적 투자는 물론이고, 봉직의라 하더라도 주택 마련, 자녀 교육비, 노후 대비 등 꾸준히 현금 흐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강화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와 부동산 대출 규제는 높은 소득을 가진 의사조차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단순히 은행 창구에서 좋은 조건의 대출을 바로 받기는 점점 더 어려워졌습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단순 금융상품 비교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합니다. 개인 상황과 병원 운영을 종합적으로 고려...

관리자 2025-08-21 1

유산취득세 전환, 의사 가정의 상속·증여 전략을 바꾼다   | 상속·증여세, 이제 의사에게도 현실적인 문제 상속·증여세는 흔히 ‘부자들만의 세금’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병·의원을 운영하는 개원의, 일정 수준의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을 보유한 봉직의라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은퇴 후 자산 배분, 병원 건물 상속, 자녀 증여 문제는 곧 세금 문제와 직결됩니다. 특히 정부가 2025년 상속세 개편을 공식 추진하면서, 의사 가정의 상속·증여 전략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습니다.     | 제도 변화, 무엇이 달라지나 이번 개편의 핵심은 ...

관리자 2025-08-19

의료사고, 이제는 개인 책임만의 문제가 아니다 – 무과실 보상제 확대 논의     1. 제도 변화, 무엇이 달라지나 최근 의료사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자단체의 보상 요구와 의사들의 법적 불안감이 동시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현장에서는 “과실이 없더라도 환자 결과가 나쁘면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이 일상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받는 제도가 바로 ‘무과실 보상제’입니다. 무과실 사고란 의료진이 통상적인 의료 기준(표준 진료)을 충실히 지켰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불가항력적 결과를 의미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산과 분만사고와 일부 산업재해 보상 영역...

관리자 2025-08-14

“해외보험은 국세청이 모른다?” - 진실 혹은 오해? 해외금융정보자동교환(CRS)의 실체     그 동안 “해외에 5억 이하를 가지고 있으면 국세청이 모른다”, “증권 분할을 하면 새로운 증권 번호로 송금한 사실이 없기 때문에 국세청이 알 수 없다”, “직접 홍콩 가서 보험회사 직원에게 한국 국세청에 고객 정보를 제공한 적이 있냐 라고 물어봤는데 없다고 하더라” 등의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는 말씀을 몇 번 드렸었는데 아직도 그런 잘못된 정보를 말하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가끔 저희를 찾아오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렇게 말씀을 드리면 “이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