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Medi Information Teacher)

나만의 전문가

MIT(정보실)

기업, 투자, 세무, 부동산에 대한 최신정보전문지식을 모아볼 수 있습니다.


 

시리즈 1편 : 공동사업자 등록을 통한 소득세 절세 전략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9-18 16:19:11

📌1편 : 공동사업자 등록을 통한 소득세 절세 전략

 

세금 부담은 의사에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입니다

 

연간 소득이 수억 원에 달하는 의사들은 종합소득세 최고세율인 45% 구간에 쉽게 걸립니다. 단순히 세무 신고만 하면 매년 세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이유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합법적으로 세금을 줄일 방법은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공동사업자 등록을 통한 소득 분산 전략입니다.

 

공동사업자는 합법적으로 소득을 나눌 수 있습니다

 

세법상 공동사업자는 각자의 지분율에 따라 소득을 나누어 신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간 소득이 4억 원이라면 전액을 원장 명의로 신고할 경우 최고세율(45%)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이를 원장 70%, 배우자 30%로 분배하면 원장의 과세표준이 줄어들어 누진세율 부담이 낮아집니다. 결과적으로 합법적으로 세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중요한 점은 공동사업자가 단순 명의만 올라가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세무당국은 실제로 사업에 기여했는지를 따집니다. 배우자나 가족이 병원에서 일정 역할을 하고, 그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어야 안전합니다. 단순히 이름만 올려놓은 경우 세무조사에서 탈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들 Q&A

 

  • Q1. 배우자가 병원에서 실제로 일하지 않아도 공동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나요?
    원칙적으로는 사업 기여도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이름만 올려놓으면 세무조사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Q2. 공동사업자 등록 후 소득 비율은 어떻게 정하나요?
    법적으로 정해진 비율은 없습니다. 다만 실제 기여도를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 Q3. 세무조사 리스크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족이 실제로 근무한 기록, 역할 분담 계약서, 인건비 지급 내역 등을 갖추어 증빙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절세와 리스크 관리가 동시에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공동사업자 등록은 합법적인 절세 전략으로 분명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명의만 빌려 절세’하는 접근은 큰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대로만 활용한다면 세금을 줄이는 동시에 가족과 함께 경영에 참여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무 전략을 설계할 때는 의사나라 전문가가 함께 하겠습니다. 의사 선생님의 든든한 파트너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