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 개정 안내]
2025년부터 달라지는 주요 노동법 내용을 확인하세요
2025년부터 시행되는 주요 노동법 개정사항을 안내드립니다.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원활한 소통과 법적 리스크 예방을 위해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노동법, 이제는 꼭 알아야 할 기본 상식
사업자는 직원과 관련해 다양한 문제를 마주하게 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등 다양한 노동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변경되는 법률을 잘 숙지하면 직원의 권리 보호와 함께, 사업주 역시 법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① 최저임금 인상 (2025.01.01 시행)
②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에 대한 불이익 강화 (2025.10.23 시행)
아래 요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로 간주됩니다:
📌 제재 내용: 신용 제재, 정부지원 제한, 공공입찰 제한 등
③ 육아휴직 기간 최대 1년 6개월로 연장 (2025.02.23 시행)
연장 대상 요건:
📌 기존 육아휴직 중이거나 예정인 경우에도 요건 충족 시 연장 가능
④ 육아휴직 신청 절차 간소화
⑤ 임신기·육아기 단축근로도 연차 산정에 포함 (2024.10.22 시행)
⑥ 난임치료휴가 비밀유지의무 신설 (2024.10.22 시행)
⑦ 육아기 단축 업무분담 지원금 신설 (2024.07.01 시행)
📌 대상:
단축근로 분담 지원 요건 요약
요건 |
내용 |
근로시간 단축 기간 |
최소 30일 이상 허용 |
단축 근로시간 요건 |
주 10시간 이상 ~ 25시간 이하 |
업무분담 근로자 |
최대 5명까지 지원 가능 |
업무분담자 보상 |
별도 수당 등 금전적 지원 필수 |
지원 한도 및 신청 |
월 최대 20만원, 단축 종료일로부터 12개월 이내 신청 |
제도 활용은 선택 아닌 필수!
개정 노동법은 직원 채용·운영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세법뿐 아니라 노동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사전에 준비하고 예방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경영의 지름길입니다.